[이슈현장] 신규확진 28만2,987명…"열흘 내 오미크론 정점"<br /><br /><br />사흘 만에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30만명 아래로 내려왔지만, 어제 하루 사망자는 229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는데요.<br /><br />정부는 오미크론 유행이 열흘 안에 정점을 맞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상황과 앞으로 전망, 신상엽 KMI한국의학연구소 학술위원장과 이야기 해봅니다.<br /><br />어서오세요.<br /><br /> 코로나19 신규확진자, 여전히 많은 숫자이지만 사흘 만에 30만명 밑으로 내려왔습니다.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1.1배, 2주전과 비교했을 땐 1.7배 증가했는데요. 한 주 만에 두 배씩 증가했을 때와 비교하면 증가폭이 다소 둔화됐다, 이렇게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하지만 아직은 안심할 수 없는 것이,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어제 사망자는 229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 위중증 환자가 늘면 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함께 증가하죠. 현재 전국적인 병상 가동률은 어떻습니까? 아직은 여유 있는 상황인가요?<br /><br /> 정부는 현재 확산세가 정점에 근접했고 앞으로 1~2주 안에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설 것이다, 이런 전망을 내놨던데요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방역당국은 정점이 지나면 거리두기 체계 완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. 현재 병상 가동률이나 의료 역량 등을 봤을 때, 거리두기를 완화해도 될까요?<br /><br /> 다음 주부터는 검사 체계도 바뀝니다. PCR 검사 없이도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, 그러니까 병원에 가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았는데 양성이 나오면 코로나19 양성으로 판정을 하겠다는 건데요. 신속한 판정으로 추가 감염을 미리 막을 수 있게 될까요?<br /><br /> 또 다음 주부터 60대 이상 확진자의 경우, 검사 받은 의료기관에서 곧바로 먹는 치료제 처방도 가능해집니다. 고령층의 코로나19 중증화 증상 예방 효과도 있을 것 같은데,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오늘로 정부가 설정한 '새 학기 적응 주간'이 종료됩니다. 하지만 다음 주에도 대부분 학교가 현행 방식대로 자체적으로 정상 등교 여부를 정하게 되는데요. 학생들 사이 코로나19 확산세는 언제쯤 꺾일까요?<br /><br /> 학교에서 운영하는 현장 이동형 PCR 검사 시, 목구멍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방식이 허용된다고요? 학생들을 배려한 조치인 것 같은데, 정확도가 떨어지지는 않을까 우려도 되거든요.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오는 21일부터는 국내외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하고, 접종 이력을 등록한 해외 입국자들은 자가격리 의무가 면제됩니다. 이른바 '위드 코로나'로 가는 움직임으로 봐야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